CS
-
Reliable UDP(RUDP)란 무엇인가?CS/네트워크 2022. 5. 28. 12:15
간략한 TCP/ UDP 소개 TCP는 통신을 할 때 클라이언트에서 connect를 열어 서버와 소통하게 됩니다. 하지만 UDP의 경우에는 connect를 열지 않고 일방적으로 server에서 client에 데이터를 보내주고 데이터를 정확하게 받았는지 확인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차이점 때문에 데이터의 신뢰성은 UDP TCP입니다. 따라서 TCP를 신뢰성있는 프로토콜이라고 부르고, UDP는 비신뢰성 프로토콜이라 알 고 있었습니다. 다음은 TCP와 UDP의 헤더 구조인데 TCP에 비해 UDP는 매우 간단한 구조를 갖습니다. TCP 헤더 구조 UDP 헤더 구조 Reliable UDP(RUDP)란? UDP 또한 RUDP라는 방법으로 신뢰성을 보장하기도 합니다. TCP에서 신뢰성..
-
MySQL 테이블 생성CS/데이터베이스 2022. 5. 24. 11:26
1. 데이터베이스 먼저 만들기 CREATE DATABASE 'DB이름'; /*생성*/ DROP DATABASE 'DB이름'; /*삭제*/ USE 'DB이름'; /*사용*/ 2. 테이블 만들기 CREATE TABLE [테이블명] ( [컬럼명] [데이터타입] (NOT NULL / DEFAULT NULL), [컬럼명] [데이터타입] (NOT NULL / DEFAULT NULL), PRIMARY KEY([기본키로 지정할 컬럼명]), FOREIGN KEY ([외래키로 지정할 컬럼명]) REFERENCES [참조테이블명] ([참조테이블의 컬럼명]) ) ENGINE=[엔진명] DEFAULT CHARSET=[인코딩] create table boardcomment( boardcommentno int primary key..
-
MySQL foreign key 조회 및 삭제 갱신CS/데이터베이스 2022. 5. 24. 10:57
foreign key를 갱신하기 위해 조회 삭제를 하고 갱신하는 법을 기록해두고자 합니다. 특정 테이블에 생성되어 있는 foreign key 조회 방법 select * from information_schema.table_constraints where table_name = 'TABLE NAME'; select * from information_schema.table_constraints where table_name = 'board'; 특정 데이터베이스에 생성되어 있는 foreign key 조회 방법 select * from information_schema.table_constraints where constraint_schema = 'DATABASE NAME'; Foreign key에 제약사항 추..
-
TCP연결이 갑자기 끊기면 어떻게 될까? = 유령 세션CS/네트워크 2022. 5. 17. 22:40
TCP와 네트워크에 대해 잘 모르신다면 다음 글을 읽고 오시면 좋습니다. https://junuuu.tistory.com/259 OSI 7계층이란? OSI 7 계층이란?(What) Open System Interconnection의 약자로 간단하게 "서로 다른 제조사 시스템 간의 호환성 해결"을 위해 ISO 국제표준 국가에 의해 재정되었습니다. 네트워크에서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 junuuu.tistory.com 유령 세션이란? 서버에 연결된 클라이언트 세션이 제대로 연결해제 되지 않고 남아 있는 상태를 유령 세션이라고 합니다. 접속 해제에 대한 감지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할당된 리소스 등이 해제되지 않고, 재접속 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유령 세션이 발생하는 이유 일반적인 TCP 흐름은 다음..
-
DB Connection Pool이란CS/데이터베이스 2022. 4. 25. 01:16
DB Connection Pool이란? DB Connection이란 DB를 사용하기 위해 DB와 애플리케이션 간 통신을 할 수 있는 수단입니다. 여기에 Pooling이라는 기법을 도입하려 DB Connection Pool이라고 부릅니다. 즉, 커넥션 풀은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된 커넥션을 미리 만들어 풀에서 관리하고, 필요시 이를 사용하고 반환하는 기법입니다. 위의 그림처럼 유저가 Web에 접속하게 되고 DB자원을 요청하게 되면 Connection Pool에 의해 관리되는 미리 생성된 5개의 Connection에서 사용 가능한 Connection을 사용하여 DB에 요청하게 됩니다. DB Connection Pool을 사용하는 이유? 우선 DB에 query를 날리기위해서는 DB Connection이 필요합니다..
-
Browser에 www.google.com을 검색하면 벌어지는 일CS/네트워크 2022. 4. 18. 18:20
이 글을 읽기 전에 OSI 7 계층에 대한 글을 읽고 오시면 더욱 좋습니다. https://junuuu.tistory.com/259?category=974977 OSI 7계층이란? OSI 7 계층이란?(What) Open System Interconnection의 약자로 간단하게 "서로 다른 제조사 시스템 간의 호환성 해결"을 위해 ISO 국제표준 국가에 의해 재정되었습니다. 네트워크에서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 junuuu.tistory.com 1. www.google.com을 검색합니다.(브라우저의 URL 파싱) 세부사항으로는 "g" 키를 누르면 해당 이벤트가 브라우저에 전달되고 모든 자동완성 기능이 활성화됩니다. 따라서 google.com을 완성하기 전에 브라우저가 이미 google.com을 제안할 수..
-
OSI 7계층이란?CS/네트워크 2022. 4. 17. 21:08
OSI 7 계층이란?(What) Open System Interconnection의 약자로 간단하게 "서로 다른 제조사 시스템 간의 호환성 해결"을 위해 ISO 국제표준 국가에 의해 재정되었습니다. 네트워크에서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구분한 것을 말합니다. OSI 7 계층의 등장 배경(Why) 정보통신산업 초기에 정보통신업체들이 자신만의 방법으로 자신들의 장비끼리만 통신이 되도록 만들다 보니 비슷한 기기임에도 제조사가 다르다는 이유로 서로 통신이 불가능했습니다. 예를 들어 한국인과 중국인이 만나면 서로 소통이 불가능합니다. 이때 영어라는 언어로 통일한다면 서로 소통이 가능할 것입니다. 따라서 표준을 정했기 때문에 OSI 7 계층을 지키는 통신장비들을 서로 호환이 가능해집니다. 또한 OSI는 7 ..
-
데이터 베이스 정규화란?CS/데이터베이스 2022. 4. 7. 13:55
정규화(Normalization)란? 정규화의 기본 목표는 테이블 간에 중복된 데이터를 허용하지 않는 것입니다. 중복된 데이터를 허용하지 않음으로써 무결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DB의 저장 용량 역시 줄일 수 있습니다. 무결성이란? 데이터의 정확성, 일관성이 유지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정확성 : 중복이나 누락이 없는 상태 일관성 : 원인과 결과의 의미가 연속적으로 보장되어 변하지 않는 상태 위의 내용은 정규화를 해야 하는 이유와 일치합니다. 정규화를 하기 위해서 테이블을 분해하는 과정이 존재하는데 여기서 테이블이 어떻게 분해되는지에 따라 정규화 단계가 달라지는데, 각각의 정규화 단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여기서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4단계를 살펴볼텐데 정규화는 6단계까지도 존재합니다. 제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