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redis
-
공식문서로 알아보는 Redis persistence프로젝트/redis 2023. 9. 5. 00:01
개요 Redis는 In-memory 시스템으로 동작하지만 disk에 영구저장하는 기능도 지원합니다. 어떤 방식으로 저장하는지에 대해 Redis 공식문서를 기반으로 Redis Persistence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Redis는 어떻게 데이터를 disk에 저장할까? Persistence란 SSD와 같은 내구성 있는 스토리지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Redis는 이에 대해 다양한 방법론을 제시합니다. Redis DataBase(RDB) : 지정된 간격으로 데이터 집합의 특정 시점 스냅숏을 저장합니다. Append Only File(AOF) : 모든 write operation을 기록하고, 서버 시작 시 원래 데이터세트를 재구성할 수 있습니다. No Persistence : 지속성을 완전히..
-
공식문서로 알아보는 Redis Transaction프로젝트/redis 2023. 8. 30. 00:01
개요 redis에서 multi, exec, discard, watch 등의 command를 공부하다 보니 redis transaction이란 개념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NoSQL은 트랜잭션이 없다고 알고 있었는데, 트랜잭션에 대한 니즈가 생기면서 RDBMS보다 약한 수준으로 지원한다고 합니다. Redis 공식문서를 기반으로 redis transaction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Redis Transaction이란? redis의 명령 중 MULTI, EXEC, DISCARD, WATCH를 활용하여 트랜잭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Redis 2.2 버전 이상부터는 Redis의 트랜잭션은 2가지를 보장해 줍니다. 모든 명령이 serialized 되어 순차적으로 실행됩니다, 다른 클라이언트가 ..
-
Redis replication? Sharding? Sentinel? Cluster?프로젝트/redis 2023. 7. 11. 00:01
개요 Redis를 사용하게 되었을 때 물리 머신이 가진 메모리를 한계를 초과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싶거나, failover(장애)에 대한 처리를 통한 HA(고가용성)을 보장하려면 Sentinel이나 Cluster 등의 운영 방식을 선택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여기서 Sentinel, Cluster, Sharding, Replication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One Redis Instance 가장 단순한 방법입니다. 여러 개의 서버가 단일 Redis 인스턴스를 바라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Redis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모든 종속 서비스가 중단되는 사태가 발생합니다. 즉, 가용성 또는 내결함성이 없습니다. Redis Replication Redis가 복제(replication)를 통해 HA(High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