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WebRTC 화상통화 프로젝트
-
OpenVidu 공식문서로 시작해보기프로젝트/WebRTC 화상통화 프로젝트 2022. 7. 9. 15:43
OpenVidu의 공식문서를 기반으로 OpenVidu를 시작해 보려고 합니다. OpenVidu 공식문서 1단계 선택하기(OpenVidu vs Kurento) OpenVidu라는 쿠렌토를 높은 레벨로 추상화시켜 사용하기 쉽게 제공하는 프레임워크가 있습니다. 쿠렌토를 사용하면 더 많은 기능들을 활용할 수 있지만 복잡도가 증가하게 됩니다. 하지만 간단하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OpenVidu 또한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쿠렌토의 공식문서에서도 Warning이라는 메시지로 OpenVidu가 더 추상화되고 사용하기 쉽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OpenVidu란? OpenVidu는 Kurento를 기반으로 하는 프레임워크입니다. OpenVidu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는 일반적인 WebRTC 통신의 일부를 ..
-
WebRTC 쿠렌토(Kurento)란?프로젝트/WebRTC 화상통화 프로젝트 2022. 7. 4. 23:05
이전 시간에 N:M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Mesh(P2P), SFU, MCU 방식에 SFU방식을 선택하기로 결정했습니다. https://junuuu.tistory.com/379?category=1014988 WebRTC란? (+P2P, SFU, MCU 동작과정) 이전 시간에 라이브 스트리밍 프로토콜에 대하여 알아보고 RTMP와 HLS 그리고 WebRTC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고 비교 분석하여 화상회의 소프트웨어에 WebRTC를 사용하기로 결론지었습니다. 비교글 junuuu.tistory.com 미디어 서버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이점 P2P를 사용하면 전송하고 받는 스트림의 수가 엄청나게 많아질 수 있습니다. 이때 미디어 서버를 통해 클라이언트가 송신해야 하는 스트림 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 (MCU를 사..
-
WebRTC란? (+P2P, SFU, MCU 동작과정)프로젝트/WebRTC 화상통화 프로젝트 2022. 7. 2. 22:15
이전 시간에 라이브 스트리밍 프로토콜에 대하여 알아보고 RTMP와 HLS 그리고 WebRTC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고 비교 분석하여 화상회의 소프트웨어에 WebRTC를 사용하기로 결론지었습니다. 비교글을 보고 싶다면 다음을 참조하세요 https://junuuu.tistory.com/377?category=1014988 라이브 스트리밍 프로토콜 비교(RTMP vs HLS vs WebRTC) 스트리밍 프로토콜이란? 라이브 스트리밍 기술을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어냈으며 덕분에 기술 지식이 거의 없어도 고품질 스트림을 제작할 수 있습니다. 실시간으로 인터넷을 통해 비디오 파일 junuuu.tistory.com 지금부터는 WebRTC에 대해 조금 더 깊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WebRTC란? Web Real-Ti..
-
라이브 스트리밍 프로토콜 비교(RTMP vs HLS vs WebRTC)프로젝트/WebRTC 화상통화 프로젝트 2022. 7. 1. 18:41
스트리밍 프로토콜이란? 라이브 스트리밍 기술을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어냈으며 덕분에 기술 지식이 거의 없어도 고품질 스트림을 제작할 수 있습니다. 실시간으로 인터넷을 통해 비디오 파일을 전달하기 위해 뒤에서 작동하는 가장 중요한 것은 스트리밍 프로토콜입니다. 비디오 파일은 부피가 크기 때문에 전송하기 위해서는 분할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스트리밍 프로토콜은 비디오를 chunks로 분할하고 재조립하는 데 사용하는 표준화된 방법을 뜻합니다. 고유한 목적을 제공하기위해 다양한 조직에서 프로토콜들을 개발하였고 일반적으로 표준화된 오픈소스이므로 다양한 기술 및 스트리밍 설정과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스트리밍을 구현하기 위해 유명한 세가지 프로토콜이 존재합니다. 바로 RTMP, HLS, WebRTC입니다.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