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build.gradle 파일 분석Spring Framework 2021. 12. 29. 23:36
이전 시간에는 스프링부트 스타터로 스프링부트 프로젝트를 실행해보았습니다. https://junuuu.tistory.com/40?category=968779 이클립스로 스프링부트 프로젝트 시작하는 법(Spring Initializr) - Gradle 에러 디버깅 이전 시간에는 스프링 프레임워크에 대해 알아보았고 이제 실제로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를 시작해 보겠습니다. 시작 환경 Java16 버전과 Eclipse가 설치되어 있는 환경에서 시작하겠습니다. 스프링 junuuu.tistory.com 프로젝트에 다양한 파일들이 존재하는데 이중에 build.gradle 파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Gradle에는 build.gradle라는 파일에 빌드에 대한 처리를 작성하고, 이 빌드 파일의 기본에 대해 설명합니다. ..
-
HTTP 응답 메시지 - 상태 코드(State Code)CS/네트워크 2021. 12. 28. 23:03
상태 코드(State Code)란? HTTP 응답 메시지가 클라이언트가 보낸 요청의 처리 상태를 알려주는 코드입니다. 이 코드를 통해서 클라이언트는 요청이 성공했는지 실패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이런 상태 코드가 없다면 에러를 감지하기 위해서 해석하는 과정이 필요할 것입니다. 상태 코드의 구조 상태 코드는 3자리 숫자로 만들어져 있으면 첫째 자리는 1~5로 구성됩니다. 숫자 뒤에는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간단한 문구가 들어갑니다. 다음은 첫번째 자리별 의미입니다. (xx는 임의의 숫자가 올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1xx(Informational) : 요청이 수신되어 처리 중 2xx(Successful) : 요청 정상 처리 3xx(Redirection) : 요청을 완료하려면 추가 행동이 필요 4..
-
REST API란? RESTful API란?CS/네트워크 2021. 12. 27. 16:17
HTTP API에 대해서 모르신다면 이 글을 보기 전에 아래의 글을 보고 오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https://junuuu.tistory.com/38 HTTP API란? HTTP란? https://junuuu.tistory.com/36 HTTP 기본 HTTP란?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HTML을 전송하는 프로토콜로 시작되었으나 현재는 모든 것을 HTTP 메시지를 통해 전송합니다. HTML, TEXT, IMAGE.. junuuu.tistory.com REST란? REpres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로 자원을 이름으로 구분하여 해당 자원의 상태를 주고받는 모든 것을 의미합니다. 웹의 장점과 HTTP의 우수성을 제대로 활용 할 수 있는 아키텍처입..
-
이클립스로 스프링부트 프로젝트 시작하는 법(Spring Initializr) - Gradle 에러 디버깅Spring Framework 2021. 12. 26. 20:26
이전 시간에는 스프링 프레임워크에 대해 알아보았고 이제 실제로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를 시작해 보겠습니다. 시작 환경 Java16 버전과 Eclipse가 설치되어 있는 환경에서 시작하겠습니다. 스프링 프로젝트를 하기 위해서 많은 설정이 필요하지만 스프링 부트를 사용한다면 편리하게 할 수 있습니다. 스프링 부트 스타터 사이트를 통해 스프링 프로젝트 생성 아래의 링크를 클릭하여 사이트로 이동하시면 됩니다 https://start.spring.io/ 아래의 UI는 시간에 따라 변화할 수도 있습니다. 1. Project를 선택합니다. Maven Project와 Gradle Project가 있습니다. (Gradle로 선택하겠습니다.) 이 둘은 빌드 도구로 프로젝트에 필요한 의존성을 관리하고 빌드 라이프사이클을 관리..
-
[백준]5014번 : 스타트링크 - 자바(JAVA)알고리즘/백준 2021. 12. 25. 23:24
https://www.acmicpc.net/problem/5014 5014번: 스타트링크 첫째 줄에 F, S, G, U, D가 주어진다. (1 ≤ S, G ≤ F ≤ 1000000, 0 ≤ U, D ≤ 1000000) 건물은 1층부터 시작하고, 가장 높은 층은 F층이다. www.acmicpc.net 문제 해석 건물은 총 F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목적지의 위치는 G층이다. 현재 위치는 S층이고 엘리베이터를 타고 이동하려고 한다. 엘리베이터의 버튼은 2가지 위로가는 U버튼과 밑으로가는 D버튼이 있다. U버튼과 D버튼은 각각 정해진 층수만큼 위 또는 아래로 이동한다. 만약 U버튼이 2이고 D버튼이 1이라면 U버튼을 한번 누를 때마다 위로 2층 D버튼을 한번 누를 때마다 아래로 1층 이동하게 된다. 만약 엘리..
-
HTTP API란?CS/네트워크 2021. 12. 24. 14:45
HTTP란? https://junuuu.tistory.com/36 HTTP 기본 HTTP란?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HTML을 전송하는 프로토콜로 시작되었으나 현재는 모든 것을 HTTP 메시지를 통해 전송합니다. HTML, TEXT, IMAGE, 음성, 영상, 파일, JSON, XML 등 거의 모든 형태.. junuuu.tistory.com HTTP는 위에서 알아보았는데 간단하게 요약하자면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서버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사용하는 통신 규칙입니다. 그러면 API란 무엇일까요?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약자로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공하는 기능..
-
[백준]16234번 : 인구 이동 - 자바(JAVA)알고리즘/백준 2021. 12. 23. 18:38
https://www.acmicpc.net/problem/16234 16234번: 인구 이동 N×N크기의 땅이 있고, 땅은 1×1개의 칸으로 나누어져 있다. 각각의 땅에는 나라가 하나씩 존재하며, r행 c열에 있는 나라에는 A[r][c]명이 살고 있다. 인접한 나라 사이에는 국경선이 존재한다. 모 www.acmicpc.net 문제 해석 N x N 크기의 땅이 있고 땅은 1x1개의 칸으로 나누어져 있다. (2차원 배열을 사용) 각각의 땅에는 나라가 존재하며 r행 c열에 있는 나라에는 A[r][c]명이 살고 있습니다. 인접한 나라 사이에는 국경선이 존재하며 인구를 이동시키려고 합니다. 인구 이동의 절차 - 인구 이동이 없을 때 까지 반복하면서 진행합니다. (while문 조건) - 국경선을 공유한 두 나라의 ..
-
HTTP 기본CS/네트워크 2021. 12. 22. 13:12
HTTP란?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HTML을 전송하는 프로토콜로 시작되었으나 현재는 모든 것을 HTTP 메시지를 통해 전송합니다. HTML, TEXT, IMAGE, 음성, 영상, 파일, JSON, XML 등 거의 모든 형태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서버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도 대부분 HTTP를 사용합니다. 웹 상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서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규약입니다. 클라이언트는 URI로 된 HTTP를 통해 서버에게 정보 송신을 요청하고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해석하고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준하는 정보를 클라이언트에게 송신합니다. 하이퍼텍스트(HyperText)란? 일반 텍스트와 달리 문장이나 단어 등이 링크를 통해 서로 연결된 네트워크처..